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1월 별똥별이 떨어지는 날!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

by ֏૱﷼↭⅘⨋Ψ 2023. 1. 5.

별똥별은 흔히 하늘에서 내리는 유성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자주 볼 수 없기 때문에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별똥별에 대해 알아보고 하늘에서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별똥별이란?

우주에는 수많은 혜성과 소행성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혜성은 태양이나 큰 질량의 행성에 대하여 타원이나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도는 태양계 내에 속한 작은 천체를 의미하고 살별이라고도 합니다.

소행성은 행성보다 작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를 말하며 소행성들은 그 수는 매우 많지만 질량이 매우 작다고 합니다.

소행성대의 질량은 지구 질량의 천분의 1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별똥별은 혜성과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오는 티끌이 떨어져 나오기도 하고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합니다.

별똥별은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것이지만 크기는 대부분 바위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부서진 암석 조각들이 대기권에서 불에 타들어가는 모습이 별똥별인 셈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자주 볼 수 없는 것도 지구에 들어오기 전 대기권에서 다 타고 사라져 버리기 때문입니다.

 

별똥별은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지만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1/수십초에서 수초 사이라고 합니다.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시간은 지극히 짧을 수밖에 없습니다.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는 주로 우주 속의 작은 천체가 지구에 떨어져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작은 천체들은 우주의 중력을 그대로 받게 되기 때문에 지구의 중력이 약해질수록 그 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속도가 줄어들게 되면 지구의 적도에서는 지구에 충돌할 수 있는 속도가 되기 전에 지구의 중력을 그대로 받게 되어 지구상에서 잠시 떨어져 내리게 되는 현상을 별똥별이라고 합니다.

 

바위정도 크기의 유성들이 지구에 떨어지면서 모두 불타버려 지표면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성체는 크기가 작다고 합니다. 유성이 될 수 있는 유성체의 질량이 1g이상이고 그 이하는 유성으로 보지 않는다고 합니다.

별똥별이-떨어지는-모습
별똥별이 떨어지는 모습

유성우는 다수의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현상이고 유성이 비가 오는 것처럼 떨어지는 모습을 말합니다.

매년 일정한 시기에 나타나는데 지구가 태양 근처를 공전하다가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지나간 자리를 통과하게 되면 그 곳의 찌꺼기들이 지구로부터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을 떨어지게 되면서 이 찌꺼기들이 유성우가 되어 보이는 것이라고 합니다.

 

운석은 떨어진 유성체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지표면까지 낙하하는 경우을 말합니다. 보통 작은 유성체들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모두 타서 없어지지만 조금 더 큰 크기의 유성체들은 지표면까지 와서 거대한 운석 구덩이를 만든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수천 개의 운석이 발견되었고 지구에 충돌한 운석들 중에 약 3%가 천운석이라고 합니다. 유성체의 구성에서 철은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기를 통과하는 사이의 격렬한 과정에서 다른 성분들보다 생존율이 높다고 합니다.

나머지 약 96%는 석질운석이고 석질과철이 섞인 운석이 1%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2023년 1월 별똥별이 떨어지는 날

1월 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1월 19일 작은곰자리 감마 유성우
정점 시율 : 120
달의 밝기 : 95%
활동 시기 : 12월28일~1월 12일
방사 지점 : 목동자리
관찰 가능 지점 : 북반구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 : 약 120개

극대시간이 한낮이고 밤중에도 밝은 달이 떠 있기 때문에 관측 조건은 좋지 않습니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 중 하나입니다. 사분의자리라는 별자리는 사라졌지만 예전부터 부르던 관습에 따라 사분의 자리 유성우로 부릅니다. 
정점 시율 : 3
달의 밝기 : 4%
활동 기간 1월 10일~1월 22일
방사 지점 : 작은곰자리
관찰 가능 지점 : 북반구

올해는 작은곰자리 감마 유성우의 관측 여건은 양호합니다.
시간당 최대 유성이 3개밖에 발생하지 않는 약한 유성류입니다.
IMO(International Meteor Organisation)에서 매년 관측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잘 연구되지는 않았습니다.

모든 유성우의 경우 하늘의 복사열이 높을수록 더 많은 유성을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천문 현상
  • 1월 3~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
    한 해는 사분의자리 유성우로 시작하고 올해 가장 활발한 유성우 중 하나입니다. 불행히도 올해는 보름달이 뜨기 이틀 전에 절정에 이릅니다.
  • 1월 23일 금성과 토성의 근접
    1월 23일 저녁 남서쪽 하늘에서 금성과 토성은 약 0.5도 내로 근접 아고 두 행성에서 약 4도 떨어진 곳에는 초승달이 있습니다. 같은 시각 목성과 화성도 한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 2월 2일 C/2022 E3(ZTF) 혜성이 최대 밝기에 도달
    2월 2일 혜성 C/2022 E3(ZTF)는 근지점(지구 가장 가까운 곳)을 지나갑니다. 예상 밝기는 4~5등급으로 가장 밝기 때문에 혜성을 관찰하기 가장 좋은 날이 될 것입니다. 
  • 4월 20일 혼성일식
    달의 그림자가 지구를 가로질러 움직일 때 그 모습이 바뀌는 일식인 희귀한 혼성일식을 볼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호주, 인도네시아, 동티모르에서 볼 수 있고 주변 지역의 경우 부분 일식을 볼 수 있습니다.
  • 5월 6일 반영월식 
    반영월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발생하고 달이 약간 어두워지는 정도에 그칩니다. 이번 반영월식은 5월 6일 0시 12분부터 시작되며 식의 최대 시간은 2시 22분 54초이며 4시 33분에 종료됩니다.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습니다.
  • 8월 13일 :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올해 가장 인기 있고 풍부한 유성우 중 하나이고 시간당 최대 100개의 유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페르세우스 절정기가 초승달 이틀 전이라 관측 여건이 좋습니다. 북반구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복사는 항상 수평선 위에 있습니다.
  • 8월 31일 올해 가장 큰 달
    올해 가장 큰 달 슈퍼문은 8월 31일 밤부터 9월 1일 새벽까지 볼 수 있는 달입니다. 올해의 다른 보름달보다 지구에 더 가까이 다가와 올해 가장 밝고 눈에 띄는 현상이 될 것입니다. 8월 31일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57,300km로 지구와 달 평균 거리인 384,400km보다 약 27,100km 이상 가깝습니다. 가장 작은달은 2월 6일에 뜨는 달입니다.
  • 10월 29일 부분월식
    10월 29일 새벽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일부 가려지는 부분월식 현상이 일어납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인도양에서 볼 수 있습니다.
  • 11월 3일 충에 있는 목성
    달과 금성 다음으로 세 번째로 밝은 천체인 목성은 보통 선명하게 보입니다. 11월 3일 양자리에서 반대에 도달하고 올해 가장 밝은 겉보기 등급 -2.9으로 빛날 것입니다.
  •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
    소행성 3200페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입니다.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