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외래생물 중 급속하게 그 개체수를 확산하며 새롭게 정착하여 생태계를 위협하는 생물을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의 정의와 생태계 교란 생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
생태계 교란 생물은 기존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외래생물을 말합니다.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8호 》
▷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 유전자변형 생물체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위와 같은 생물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하고 학술 연구 목적이나 환경부령으로 정한 교육용, 전시용, 식용 등의 목적 외는 차단됩니다. 사육, 재배, 저장, 운반, 수입 등에 대한 규제를 실시하고 포획·퇴치가 본격화됩니다.
특정 외래 생물은 살아있는 것뿐 아니라 알, 씨앗, 기관 등도 포함됩니다.
생태계 교란종 종류
지정 연도 | 동물 | 지정 연도 | 식물 |
1998년 | 황소개구리 | 1999년 | 돼지풀 |
1998년 | 파랑볼우럭(블루길) | 1999년 | 단풍잎돼지풀 |
1998년 | 큰입배스 | 2002년 | 서양등골나물 |
2001년 | 붉은귀거북속 전종 | 2002년 | 털물참새피 |
2018년 | 뉴트리아 | 2002년 | 물참새피 |
2019년 | 꽃매미 | 2002년 | 도깨비가지 |
2020년 3월 30일 | 붉은불개미 | 2009년 | 애기수영 |
2020년 3월 30일 | 등검은말벌 | 2009년 | 가시박 |
2020년 3월 30일 | 리버쿠터 | 2009년 | 서양금혼초 |
2020년 3월 30일 | 중국줄무늬목거북 | 2009년 | 미국쑥부쟁이 |
2020년 3월 30일 | 미국선녀벌레 | 2009년 | 양미역취 |
2020년 3월 30일 | 갈색날개매미충 | 2012년 | 가시상추 |
2020년 | 미국가재 | 2016년 | 갯줄풀 |
2020년 12월 30일 | 악어거북속 전종 | 2016년 | 영국갯끈풀 |
2020년 12월 30일 | 플로리다레드벨리쿠터 (플로리다붉은배거북) |
2019년 | 환삼덩굴 |
2020년 12월 30일 | 긴다리비틀개미 | 2020년 | 마늘냉이 |
2020년 12월 30일 | 빗살무늬미주메뚜기 | 2022년 10월 28일 | 돼지풀아재비 |
2021년 8월 31일 | 브라운송어 | ||
2022년 10월 28일 | 늑대거북속 전종 |
생태계 교란종 피해
생태계교란종은 생태계의 기능과 다른 종들의 분포와 다양성의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침입외래종 생물로 인한 서식지 파괴, 경제적 손실, 질병을 퍼뜨릴 수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 생물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과 다양한 먹이와 환경에서의 생존능력을 갖추고 있고 대부분 빠른 성장과 번식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생태계 교란종 중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은 덩치가 크고 육식성이어서 대한민국 토착종을 잡아먹는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습니다.
덩치가 크고 하루 동안 체중의 25%가량에 달하는 풀을 먹는 뉴트리아도 식욕이 황성해 주변 생물들을 마구 잡아먹어 습지와 다른 서식지를 파괴하고 굴을 파서 제방을 침식시키거나 건물의 지반을 약화시킵니다. 뉴트리아는 토착종과 인간에게 전염될 수 있는 질병과 기생충을 옮긴다고 합니다.
돼지풀처럼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거나 황소개구리처럼 질병을 전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큰입배스는 토종 물고기뿐 아니라 수질 정화 기능을 하는 민물새우를 많이 잡아먹어 물 오염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댓글